
1. 폐기되는 호문쿨루스 볼다이크 9시 방향의 웨이포인트 쪽에 빛나는 오브젝트와 반응하면, 히든 퀘스트가 활성화 된다. 간단한 대화 이후에 퀘스트가 완료됩니다. 2. 버려지는 호문쿨루스 메인 퀘스트를 모두 밀면 6시쪽 웨이포인트쪽에 퀘스트가 생깁니다. 해당 퀘스트를 완료하면 "괴담의 탄생" 에포나 퀘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보상으로 전영팩을 획득 가능하다. 3. 릴로자와 나 암발리타 메인 퀘스트 이후에 3번 지역에서 서브 퀘스트를 진행하면 4번 지역에 빛나는 오브젝트가 생긴다. 이후에 퀘스트를 완료하면 전영팩을 획득할 수 있다. 퀘스트가 전체적으로 짧은 대화 위주이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 전영팩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꼭 해야만 하는 퀘스트다. 모두 완료하면 전영팩을 2개 획득 가능하다..

다들 아시는 부분도 있지만 새롭게 플레일르 시작하는 분이나, 기존에 하던 분들이라도 플레이하면서 몰랐던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간단한 환경설정 팁을 알아보고자 한다. 비디오 > 21:9 강제 설정 모니터가 21:9가 아니더라도 강제로 설정이 가능하다. 아브렐슈드 6관문이나 PVP에서 있고 없고 차이가 정말 큰 옵션이다. 대신 위아래로 작은 레터박스가 생긴다. 비디오 > 일괄설정 만약 자신의 컴퓨터 사양이 좋지 않다면, 혹은 사양은 충분한데 잔렉이 없는 플레이를 원한다면 일괄설정을 "하"로 설정한다. 비디오 > 후처리 효과 - 빛번짐 화면 자체에 뽀샤시한 필터를 씌워주는 기능인데, 끄면 좀 더 선명해진다. 소서리스, 서머너, 이슬비 기상술사 같이 스킬 이펙트가 화려한데 눈이 피로하다면 꺼보는 것도 좋다. ..

알고 보면,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카드셋은 세구빛과 남바절 카드셋을 위한 징검다리로 설계된 카드셋이다. 따라서 세구빛과 남바절에 포함된 카드를 포함하며 전설 카드를 제외하면 획득처가 노력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카드셋 효과 자체는 매우 준수하며, 일부 세우라제를 쓰는 클래스는 서폿의 너계획 셋트와 궁합이 잘 맞기도 하다. 당장에는 세구빛이 국민 세트지만 앞으로 나올 레이드에 따라 얼마든지 꺼내 쓸 수 있는 카드셋들이다 보니 구비해둬서 나쁠 것은 없다. 알고 보면 바훈투르 어비스 던전 6종, 어비스 레이드 아르고스, 군단장 레이드 아제나&이난나 어비스 던전 6종, 어비스 레이드 아르고스, 군단장 레이드 카인 아르데타인 떠돌이 상인, 도전자의 카드 팩(삭막한 초원) 레온하트 네리아 아르테미스 떠돌이 상..

배틀그라운드 게임이 출시된 이후 144HZ 주사율 모니터의 인식 확대가 이루어 졌다면, 로스트아크 이후로는 34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이 인식 확대가 이루어졌다. 21:9 화면비가 가능한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사용하면 조금 더 넓은 시야를 이용해서 아브렐슈드 6관문 문양 기믹을 수월하게 파훼할 수 있다는 팁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로스트아크는 16:9와 21:9를 비롯해 모든 해상도를 지원한다. 참고로 최하옵을 기준으로는 1660s까지도 괜찮지만 조금이라도 옵션을 낮추고 싶지 않으면 3080정도는 되어야 프레임 방어가 가능하다. 삼성 오디세이 G5 C34G55T 로스트아크 인벤에서 꾸준히 추천글이 올라오는 WQHD 모니터 중 하나인데, 가격대비 성능이 나쁘지 않고 국내 대기업의 AS를 생각하면 두 번 고민..

서두부터 결론을 적어보자면 디아블로4는 그럭저럭 잘 만든 게임은 맞지만 기대했던 것만큼은 절대 아니다. 아직 베타 버전이고 정식 출시까지 3개월 정도 남아있긴 하지만 드라마틱하게 변할 것 같지 않고 세세한 마무리 작업들이 남아있지 큰 틀에서의 변화가 있지는 않을 것이다. 처음 켜자마자 받은 느낌은 이거 PC게임이 아니다는 느낌이다. PC 뿐만 아니라 콘솔과 모바일까지 크로스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만든 티가 UI에서 티가 많이 난다. 배경, 캐릭터 묘사 등등은 또 꽤 괜찮은 그래픽 퀄리티를 보여주지만 스킬 이펙트 같은 것이 좀 부실하고 몇 개의 패턴은 기존 시리즈들에서 복붙해온 것은 아닌가 싶다. 그래서 이 게임이 어떤 유저층을 붙잡을 것인가를 따져보면 기존에 한국 RPG를 주름잡던 메이플 스토리, 던전앤..

주로 바드, 도화가, 홀리나이트 같은 서포터 직업군에서 채용하는 경우가 많은 속행 룬의 수급처를 알아보려고 한다. 일부 직업의 경우에는 어떤 룬을 써도 애매해서 질풍이나 속행 룬을 억지로 착용하기도 한다. 속행룬의 효과는 "스킬 사용 시 일정 확률로 전체 재사용 대기 시간이 8%/12%/16% 감소" 다. 속행룬이 발동을 하면 쿨타임 상태의 모든 스킬의 대기시간이 감소한다. 극신속 직업이 속행룬을 도배하면 마나가 모자랄 수 있다. 전설 속행룬 - 타워 오브 데스티니 45층 (1570 아이템레벨) 영웅 속행룬 - 타워 오브 페이트 45층 희귀 속행룬 - 타워 오브 페이트 25층 - 타워 오브 쉐도우 45층 참고로 모든 타워 컨텐츠는 딜 셋팅을 하고 배틀아이템을 준비해야 한다. 편하게 깨고 싶으면 오버스펙이..

이제 2023년이 되었다. 올해 가장 기대되는 건 역시 신작 게임 발매 소식이다. 대작 IP들을 비롯해 인디 게임까지 라인업이 다채로워서 올 한 해는 작년과는 다르게 할 게임이 많아서 풍성한 느낌이 들 것 같다. 발매일이나 게임 볼륨과는 상관없이 소개해 보려고 한다. 디아블로4 출시 예정일 : 2023년 6월 6일 오픈 베타 얼리 엑세스는 3월 18일부터 가능하다고 한다. 디아블로2의 어두운 분위기를 계승하며 디아블로3 전투의 박진감을 가져왔다고 한다. 스토리 상으로는 이나리우스 대천사가 릴리스와의 전투를 목전에 두는 것으로 보아 디아블로3 이후의 얘기를 다루고 있다. 릴리스의 아빠인 대악마 메피스토가 이나리우스를 가둬놓았는데 데 전편인 3에서는 등장하지 않다가 4에서 등장하는 것을 보니 기대감을 불러 ..
스마게 패치의 방향성 1. 본캐는 16층을 넘어 일리아칸, 상아탑을 돌고, 부캐들은 적어도 1540~1580 이상 목표. 1460까지 강화할 때 누르는 골드를 없애고 비아 하드까지 클리어 골드를 하향 시켰다. "거기까지는 쉽게 찍을수있게 해줄게, 모든 캐릭터를 일단 1460까지는 찍어봐" 같은 메세지다. 그이하 깡통배럭은 쓸모가 없어졌다. 오로지 쌀먹만을 위해 게임 하는 사람들은 이제 1460 이전에 카오스 던전과 가디언 토벌 등에서 얻는 재화로는 충분한 골드를 얻기 힘들어졌다. 현재 상태로는 1490 레벨 이하 아니 1540 레벨 이하의 캐릭터로 벌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강화 재료, 군단장 클리어 시 나오는 재료, 악세사리 등이 전부 헐값이 되버렸다. 앞으로는 부캐릭터도 최소한은 1540..

엘릭서 정제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옵션들의 등장 확률과 단계별 옵션 수치를 정리했습니다. 엘릭서 연성 합계가 35/40 이상에서 발동하는 특수 옵션도 같이 정리했습니다. 공용 등장 확률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공격력 2.5% 122 253 383 575 767 무기 공격력 2.5% 236 488 740 1110 1480 힘/민첩/지능 2.5% 864 1782 2700 4050 5400 무력화 7.5% 0.38% 0.79% 1.2% 1.8% 2.4% 마나 7.5% 15 32 49 73 98 물약 중독 7.5% 1.13% 2.34% 3.55% 5.32% 7.1% 방랑자 7.5% 0.8% 1.65% 2.5% 3.75% 5% 생명의 축복 7.5% 6 12 19 29 39 자원의 축복 7.5% 0.4..

엘릭서 연성시에 현자들의 조언을 비교해볼 때 분명 좋은 조언이 있고, 안 좋은 조언이 있다. 흔히들 고트(GOAT) 옵션이라고들 하는 옵션들은 비교적 눈에 잘 띄지만, 좋은지 안 좋은지 헷갈릴 때도 있다. 본인의 경험과 커뮤니티의 의견을 참고하여 일반 연성을 포함하여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조언들을 정리해 보았다. 정제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효과가 나오지 않아서 흔히 말하는 미드 달리기 후 리세마라(초기화 노리기)는 고려하지 않았다. 밸류가 높은 조언들의 공통점은 기회 소모가 없이 연성하거나, 같은 기회 내에서도 대성공 급의 성공확률을 가지는 조언들이다. 총 연성 기회는 14회인데 5/5에 근접하려면, 20회 가까이 연성해야 하는데 대성공 급의 사기가 없으면 정말 힘들기 때문이다. 연성 초반 최대한 ..